공공정보 5

근로장려금 기준 조건 자격 조회 및 신청 방법 지급일 기간

근로장려금 지급일 기준 조건 자격 조회 및 신청 방법 기간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먼저 근로장려금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근로장려금 국가에서 현재 일을 하고 있지만 소득이 많지 않은 사람들에게 장려금을 지급하는 일종의 복지제도라고 합니다. 신청자격 알아보기 ① 아래의 링크로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합니다. ▼▼ 국세청 홈택스 접속 링크 ▼▼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② "신청/제출"에 마우스를 올려놓습니다. ③ 아래와 같이 메뉴가 확장되는데, 형광표기된 제도안내를 눌러서 들어갑니다. ④ 아래와 같이 "신청자격" 탭으로 들어갑니다. ⑤ 아래와 같이 가구원요건, 소득요건, 재산요건 등 크게 3가지 조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12.31일 기준 근로소득ㆍ사업소득ㆍ종교인소..

공공정보 2023.06.19

자녀장려금 기준 및 지급일, 신청 조건 및 기간 금액

자녀장려금 기준 및 지급일, 신청 조건 및 기간과 금액에 대해 찾아보았습니다. 자녀장려금 국가에서 자녀양육을 목적으로 지원금을 지원하는 제도라고 합니다. 부부합산 총소득 4천만원 미만이면서 18세 미만의 부양자녀가 있는 경우 1명당 최대 80만원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신청자격 알아보기 ① 아래의 링크로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합니다. ▼▼ 국세청 홈택스 접속 링크 ▼▼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② "신청/제출"에 마우스를 올려놓습니다. ③ 아래와 같이 메뉴가 확장되면, 형광표기된 제도안내를 눌러서 들어갑니다. ④ 아래와 같이 "신청자격" 탭으로 들어갑니다. ⑤ 아래와 같이 가구원요건, 소득요건, 재산요건 등 크게 3가지 조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12.31일 기준 근로소득ㆍ사..

공공정보 2023.06.18

업종코드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차이 비교 및 차이점 조회

국세청 업종코드와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차이 비교 포스팅입니다. 업종코드 업종코드는 조세목적으로 국세청에서 업종들을 분류한 코드라고 합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이하 "분류코드"로 약칭)는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서 통계청에서 분류한 것이라고 합니다. 업종코드 vs 분류코드 차이점 일반에서 간혹 업종코드, 업종분류코드, 산업코드, 산업분류코드, 공장코드 등 다양하게 명칭되거나 혼용해서 명칭되고 있다고도 합니다. 하지만, 통계청 통계분류포털에서는 통계청의 한국표준산업분류와 국세청의 업종분류는 서로 다른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두 가지를 잘 구분하여 확인 및 조회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업종코드 분류코드 주관기관 국세청 통계청 분류목적 조세목적 통계작성 코..

공공정보 2023.06.15

업종코드 조회 및 분류표 확인방법 (국세청 홈택스 사업자 업종분류코드)

국세청 홈택스 사업자 업종코드 조회 및 분류표입니다. 업종코드 국세청에서 조세행정을 목적으로 각 업종들을 분류하여 사업자에게 부여한 코드가 업종코드이며 6자리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간혹 통계청 산업분류코드와 혼동할 수도 있다고 하니, 검색하려는 코드가 국세청 업종코드가 맞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업종코드 vs 산업분류코드 차이 ▼▼ 업종코드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차이 비교 및 차이점 조회 국세청 업종코드와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차이 비교 포스팅입니다. 업종코드 업종코드는 조세목적으로 국세청에서 업종들을 분류한 코드라고 합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한국표준 gway55.tistory.com 업종코드 조회 방법 ① 아래 링크로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합니다. ▼▼ 국세청 홈택스 링크 ..

공공정보 2023.06.15

한국표준 산업분류표, 산업분류코드 조회 (KSIC 공장코드 공장분류코드 by 통계청 통계분류포털)

한국표준 산업분류코드 및 및 한국표준산업분류표 조회 방법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흔히 산업코드, 산업분류코드, 업종코드, 업종분류코드, 공장코드, 공장 분류코드 등 현장에서 다양한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 통계청 주관 한국표준산업분류는, 산업과 관련된 통계자료들의 정확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산업활동의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였다고 합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 원재료 등의 투입물과 생산된 산출물(재화와 서비스), 생산활동의 일반적 결합형태에 따라 분류하였다고 합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표 한국표준산업분류는 1963년 제정 이후 9번의 개정을 통하여 2017년 10차 개정이 되었다고 합니다. ▼ 제 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다운받기 ▼ 한국표준산업분류표 주의사항 ..

공공정보 2023.06.15